건너뛰기 메뉴


지질명소

지질명소(43개소)

번호 명칭 사진 주요 특징 가치
1 도담삼봉
  • 석회암 카르스트 지형이 만든 원추형 모양의 봉우리로 카렌 혹은 라피에
  • 도담리에는 하안단구와 돌리네가 발달
  • 명승으로 지정
국가
2 고수동굴
  • 고생대 조선누층군의 석회암층으로 종유석, 석순, 돌기둥, 유석을 비롯한 다양한 동굴생성물 확인
  • 구석기 시대의 뗀석기가 발굴
  • 전시관과 교육시설이 설치
  • 천연기념물 지정
국가
3 다리안 계곡
(옥동단층)
  • 고원생대 화강편마암과 고생대 장산규암이 13억년의 시간을 가지며 접촉하고 있는 지질명소
  • 단층, 관입, 습곡, 사층리 등 다양한 구조 관찰 가능
  • 국민관광지와 국립공원 입구에 있어 생태 경관 우수
국제
4 온달동굴
  • 온달동굴의 주방향은 지층의 경사와 수직방향으로 발달하였으며, 이는 이곳의 단층면을 따라 생성
  • 다양한 동굴생성물(종유관, 종유석, 석순, 석주, 유석, 동굴방패, 커튼, 베이컨 시트)와 박스웍이 발달
  • 천연기념물 지정
국가
5 구담봉
  • 중생대 백악기 흑운모 화강암으로 이루어짐
  • 판상절리가 특이하게 형성되어 있어 중생대 백악기 화강암의 관입 시 특성 및 그 후 지질현상을 관찰 가능
  • 유람선을 타고 관찰이 가능하며 국립공원 지역임
국제
6 사인암
  • 중생대 백악기 흑운모로 구성되며, 수평·수직절리가 발달
  • 하천 내에는 포트홀과 너넬 등이 관찰되며, 사인암 상부에는 토르가 발달함
  • 하천을 따라 탐방로가 설치되어 있음
국가
7 석문
  • 석회암 동굴이 무너진 후 동굴의 일부가 남겨진 곳
  • 주변에는 호석회 식물이 자라고 있으며, 석문길이라는 지질 탐방로가 있음
  • 명승으로 지정
국가
8 상선암
  • 선암계곡의 최상부에 위치하고 있는 상선암은 크고 널찍한 바위는 없으나, 절리가 잘 발달되어 있는 바위가 계곡을 따라 형성
  • 월악산 국립공원에 위치
국가
9 중선암
  • 삼선구곡을 이루는 심산유곡의 중심지로, 화강암과 계곡이 잘 어우러져 있으며, 옥염대 암벽에 「사군강산 삼선수석」이란 대서특필한 각자존재
  • 월악산 국립공원에 위치
국가
10 하선암
  • 삼선구곡을 이루는 심산유곡의 첫 경승지로 3층으로 된 화강암이 수평절리가 발달하여 쉴 수 있는 넓은 공간을 제공
  • 월악산 국립공원에 위치
국가
11 소선암
  • 선암계곡의 하류 부분으로 퇴적암과 화강암의 경계부
  • 퇴적암 부분에는 애추가 발달하여 휴양림 등 편의시설이 나타나며, 소선암을 시작으로 약 14km의 탐방로가 설치
지역
12 두산활공장
  • 남한강을 따라 발달한 하안단구와 사평리 역암이 나타남
  • 단양의 지형, 하천, 하안단구, 지하자원의 이용 그리고 농업, 관광, 레저 등을 한눈에 살펴볼 수 있음
  • 단양의 1차, 2차, 3차 산업을 한눈에 볼 수 있음
국가
13 삼태산 경관
  • 석회암으로 이루어진 산
  • 천연동굴, 카렌, 테라로사와 캄브리아기 최후기 화석을 포함하여 시대를 달리하는 삼엽충 화석 관찰
  • 카렌과 테라로사로 이루어진 밭에서 배추와 수박이 생산
국가
14 영춘 북벽
  • 남한강 상류에 발달한 석회암 석벽
  • 절벽내 조선시대의 문인들의 글귀가 새겨져 있음
  • 상부에는 테라로사가 발달
  • 북벽테마파크 조성중
    (생태 및 지질공원)
지역
15 영천동굴
  • 국내 최장의 석회동굴인 영천동굴로 고생대 조선누층군에 속함(도기념물 지정)
  • 동굴 내에 10강 25목 33과 39속 40종이 서식
  • 주변 측백나무가 군락을 이루고 있음(천연기념물)
지역
16 구봉팔문
(구인사)
  • 소백산의 아홉 봉우리 사이사이 골짜기가 여덟 개 문으로 절경을 이루는 곳
  • 천태종 총본산인 구인사 위치
  • 국립공원 지역
국가
17 여천리
카르스트
  • 돌리네 수십개 이상이 집단적으로 분포하며, 직경이 100m 이상인 것도 있음
  • 대체로 원형을 이루는 돌리네 지형과 테라로사가 발달
  • 못밭이라고 불리어지는 방언이 있음
국가
18 천동동굴
  • 고생대 캄브리아기-오르도비스기 석회암층의 석회동굴
  • 규모가 작고 동굴이 좁지만 종유석, 석순, 종유관 등이 입구 근처에서 관찰 가능
  • 주변에 캠핑장, 물놀이장, 야영장의 편의시설 구축
국가
19 만천하경관
  • 애곡리 부정합, 다양한 퇴적암 변화양상, 단층, 관입과 하안단구를 볼 수 있음
  • 관광을 포함한 교육, 생태, 레저, 역사 등의 다양한 문화가 공존하는 곳
국제
20 고수리
산호화석
  • 남한강을 따라 고생대 산호화석 남조류 박테리아 화석인 앨걸매트, 고생대 두족류 화석, 중생대 식물화석이 시간 순서대로 나타남
  • 고생대 화석은 과거 단양이 바다라는 증거로 사용
국가
21 현천리
충상단층
  • 고생대 석회암과 중생대 응회암의 부정합 관계를 볼 수 있으며 희소성이 높음
  • 심곡리 계곡을 따라 석회암과 장성층이 충상단층 형태로 나타남
  • 하천을 따라 중생대 어패류 화석이 나타남
국제
22 수양개 유적지
  • 적성면 애곡리 수양개 마을의 남한강이 굽이쳐 흐르는 하안단구에 위치
  • 후기 구석기의 유적으로 다양한 유물이 출토
  • 수양개 전시관을 운영
국가
23 노동동굴
  • 대형 수직동굴로, 석회화 단구, 동굴 산호가 발달
  • 현재 동굴의 보호를 위하여 개방을 하지 않음
  • 수직벽 바닥에는 뼈무덤, 토기의 파편 등이 산재
  • 천연기념물 지정
국가
24 대강
습곡구조
  • 죽령천을 따라 화절층 내 작은 규모의 습곡이 파도의 모양을 가지며, 셰일과 석회암이 호층을 이루는 관찰
  • 용부원리에는 재습곡구조와 단층 변형구조가 나타남
국가
25 황정산과
칠성암
  • 중생대 화강암의 단애가 수평과 수직절리가 발달하여 나타남
  • 남조천을 따라 발달한 생태환경이 우수함
  • 산림청에서 운영하는 국립자연휴양림이 있음
지역
26 에덴동굴
  • 영춘면에 위치한 본 동굴은 동굴생성물을 활용한 고기구 관찰 연구지로 네이져지에 소개된 곳
  • 기후변화에 대비한 과거의 기후 확인 가능한 곳
    연구 목적으로만 활용하며, 공개장소는 아님
국제
27 다리안
화강편마암
  • 백두대간의 줄기인 소백산에 위치하고 있는 화강편마암
국제
28 매포
충상단층
  • 고생대 실루리아기와 중생대 쥬라기의 접촉부의 충상단층
국제
29 향산리
고기자기
증거
  • 초기 트라이아스기의 노출된 동고층에 대한 고기자기 연구로 단양 지역이 평안누층군 형성이 후 시계방향으로 수직축 회전을 했다는 증거
국제
30 하리
대량절멸
  • 대멸종(대량절멸)의 증거(수은)로 과거 전체 해양생물 중 약 35%이상이 사라진 사건
국제
31 기촌
충상단층
  • 쥬라기 반송층군과 오르도비스기의 암석의 충상단층오로 접하는 구역
지역
32 노동리
충상단층
  • 노동리에 발달하고 있는 충상단층으로 단양지역에 발달하는 고생대, 중생대 경계 단층
국제
33 죽령단층
  • 단양의 남부지역에 동서방향으로 발달한 단층으로 단양 지역에서 발달한 단층 중 가장 최근에 발생한 단층
  • 한 개의 단층이 아닌 4개의 단층이 평행하게 발달
국제
34 기촌리
슬음산
충상단층
  • 기촌리 슬음산에 발달한 충상단층으로 고생대 오르도비스기와 석탄기의 경계가 나타남.
  • 한반도와 중국의 지각사의 합축
국제
35 의풍
혼성편마암
  • 혼성편마암은 750℃ 및 4-6kbar의 압력에 의해 변성된 것으로 영춘면 의풍리 발달
국제
36 사평리 역암
  • 중생대 쥬라기의 역암으로 역암내 역을 통하여 고생대 및 중생대의 퇴적환경을 확인
국제
37 오사리
쇄설성
저어콘
  • 퇴적분지의 구조적 진화와 연관성을 평가하고 입증하는데 사용
  • 옥천대의 고생대 서열은 경기/영남분지 구별)
국제
38 대전리
필석 화석
  • 어상천면 대전리 일대에서 발견된 고생대 오르도비스기의 필석 화석, 필석은 돌에 새겨진 문자와 같다는 의미로 균체를 이루어 물에 더서 살던 해양 반삭 동물을 말함
국가
39 기동리
충산단층
  • 고생대 실루리아기와 중생대 쥬라기의 접촉부의 충상단층
국가
40 구낭굴
  • 구낭굴은 암석학적, 층서학적 데이터가 잘 나타나져 있어, 퇴적구조를 따라 연대측정을 수행하고 이를 기반으로 동굴 환경의 변화를 확인 가능
국가
41 파랑리
삼엽충 화석
  • 매포읍 파랑이에서 발견된 삼엽충 화석
국가
42 노동리
반전 습곡
  • 노동리에 위치하고 있는 삼차원 습곡구조로 습곡의 면구조를 확인할 수 있는 곳
국가
43 노동리 습곡
  • 노동동굴 주변의 광산에서 접힘현상이 나타나며, 이 구조가 수십미터 규모로 나타나 교육 및 학문적으로 훌륭함
국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