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 |
도담삼봉 |
 |
- 석회암 카르스트 지형이 만든 원추형 모양의 봉우리로 카렌 혹은 라피에
- 도담리에는 하안단구와 돌리네가 발달
- 명승으로 지정
|
국가 |
2 |
고수동굴 |
 |
- 고생대 조선누층군의 석회암층으로 종유석, 석순, 돌기둥, 유석을 비롯한 다양한 동굴생성물 확인
- 구석기 시대의 뗀석기가 발굴
- 전시관과 교육시설이 설치
- 천연기념물 지정
|
국가 |
3 |
다리안 계곡 (옥동단층) |
 |
- 고원생대 화강편마암과 고생대 장산규암이 13억년의 시간을 가지며 접촉하고 있는 지질명소
- 단층, 관입, 습곡, 사층리 등 다양한 구조 관찰 가능
- 국민관광지와 국립공원 입구에 있어 생태 경관 우수
|
국제 |
4 |
온달동굴 |
 |
- 온달동굴의 주방향은 지층의 경사와 수직방향으로 발달하였으며, 이는 이곳의 단층면을 따라 생성
- 다양한 동굴생성물(종유관, 종유석, 석순, 석주, 유석, 동굴방패, 커튼, 베이컨 시트)와 박스웍이 발달
- 천연기념물 지정
|
국가 |
5 |
구담봉 |
 |
- 중생대 백악기 흑운모 화강암으로 이루어짐
- 판상절리가 특이하게 형성되어 있어 중생대 백악기 화강암의 관입 시 특성 및 그 후 지질현상을 관찰 가능
- 유람선을 타고 관찰이 가능하며 국립공원 지역임
|
국제 |
6 |
사인암 |
 |
- 중생대 백악기 흑운모로 구성되며, 수평·수직절리가 발달
- 하천 내에는 포트홀과 너넬 등이 관찰되며, 사인암 상부에는 토르가 발달함
- 하천을 따라 탐방로가 설치되어 있음
|
국가 |
7 |
석문 |
 |
- 석회암 동굴이 무너진 후 동굴의 일부가 남겨진 곳
- 주변에는 호석회 식물이 자라고 있으며, 석문길이라는 지질 탐방로가 있음
- 명승으로 지정
|
국가 |
8 |
상선암 |
 |
- 선암계곡의 최상부에 위치하고 있는 상선암은 크고 널찍한 바위는 없으나, 절리가 잘 발달되어 있는 바위가 계곡을 따라 형성
- 월악산 국립공원에 위치
|
국가 |
9 |
중선암 |
 |
- 삼선구곡을 이루는 심산유곡의 중심지로, 화강암과 계곡이 잘 어우러져 있으며, 옥염대 암벽에 「사군강산 삼선수석」이란 대서특필한 각자존재
- 월악산 국립공원에 위치
|
국가 |
10 |
하선암 |
 |
- 삼선구곡을 이루는 심산유곡의 첫 경승지로 3층으로 된 화강암이 수평절리가 발달하여 쉴 수 있는 넓은 공간을 제공
- 월악산 국립공원에 위치
|
국가 |
11 |
소선암 |
 |
- 선암계곡의 하류 부분으로 퇴적암과 화강암의 경계부
- 퇴적암 부분에는 애추가 발달하여 휴양림 등 편의시설이 나타나며, 소선암을 시작으로 약 14km의 탐방로가 설치
|
지역 |
12 |
두산활공장 |
 |
- 남한강을 따라 발달한 하안단구와 사평리 역암이 나타남
- 단양의 지형, 하천, 하안단구, 지하자원의 이용 그리고 농업, 관광, 레저 등을 한눈에 살펴볼 수 있음
- 단양의 1차, 2차, 3차 산업을 한눈에 볼 수 있음
|
국가 |
13 |
삼태산 경관 |
 |
- 석회암으로 이루어진 산
- 천연동굴, 카렌, 테라로사와 캄브리아기 최후기 화석을 포함하여 시대를 달리하는 삼엽충 화석 관찰
- 카렌과 테라로사로 이루어진 밭에서 배추와 수박이 생산
|
국가 |
14 |
영춘 북벽 |
 |
- 남한강 상류에 발달한 석회암 석벽
- 절벽내 조선시대의 문인들의 글귀가 새겨져 있음
- 상부에는 테라로사가 발달
- 북벽테마파크 조성중
(생태 및 지질공원)
|
지역 |
15 |
영천동굴 |
 |
- 국내 최장의 석회동굴인 영천동굴로 고생대 조선누층군에 속함(도기념물 지정)
- 동굴 내에 10강 25목 33과 39속 40종이 서식
- 주변 측백나무가 군락을 이루고 있음(천연기념물)
|
지역 |
16 |
구봉팔문 (구인사) |
 |
- 소백산의 아홉 봉우리 사이사이 골짜기가 여덟 개 문으로 절경을 이루는 곳
- 천태종 총본산인 구인사 위치
- 국립공원 지역
|
국가 |
17 |
여천리 카르스트 |
 |
- 돌리네 수십개 이상이 집단적으로 분포하며, 직경이 100m 이상인 것도 있음
- 대체로 원형을 이루는 돌리네 지형과 테라로사가 발달
- 못밭이라고 불리어지는 방언이 있음
|
국가 |
18 |
천동동굴 |
 |
- 고생대 캄브리아기-오르도비스기 석회암층의 석회동굴
- 규모가 작고 동굴이 좁지만 종유석, 석순, 종유관 등이 입구 근처에서 관찰 가능
- 주변에 캠핑장, 물놀이장, 야영장의 편의시설 구축
|
국가 |
19 |
만천하경관 |
 |
- 애곡리 부정합, 다양한 퇴적암 변화양상, 단층, 관입과 하안단구를 볼 수 있음
- 관광을 포함한 교육, 생태, 레저, 역사 등의 다양한 문화가 공존하는 곳
|
국제 |
20 |
고수리 산호화석 |
 |
- 남한강을 따라 고생대 산호화석 남조류 박테리아 화석인 앨걸매트, 고생대 두족류 화석, 중생대 식물화석이 시간 순서대로 나타남
- 고생대 화석은 과거 단양이 바다라는 증거로 사용
|
국가 |
21 |
현천리 충상단층 |
 |
- 고생대 석회암과 중생대 응회암의 부정합 관계를 볼 수 있으며 희소성이 높음
- 심곡리 계곡을 따라 석회암과 장성층이 충상단층 형태로 나타남
- 하천을 따라 중생대 어패류 화석이 나타남
|
국제 |
22 |
수양개 유적지 |
 |
- 적성면 애곡리 수양개 마을의 남한강이 굽이쳐 흐르는 하안단구에 위치
- 후기 구석기의 유적으로 다양한 유물이 출토
- 수양개 전시관을 운영
|
국가 |
23 |
노동동굴 |
 |
- 대형 수직동굴로, 석회화 단구, 동굴 산호가 발달
- 현재 동굴의 보호를 위하여 개방을 하지 않음
- 수직벽 바닥에는 뼈무덤, 토기의 파편 등이 산재
- 천연기념물 지정
|
국가 |
24 |
대강 습곡구조 |
 |
- 죽령천을 따라 화절층 내 작은 규모의 습곡이 파도의 모양을 가지며, 셰일과 석회암이 호층을 이루는 관찰
- 용부원리에는 재습곡구조와 단층 변형구조가 나타남
|
국가 |
25 |
황정산과 칠성암 |
 |
- 중생대 화강암의 단애가 수평과 수직절리가 발달하여 나타남
- 남조천을 따라 발달한 생태환경이 우수함
- 산림청에서 운영하는 국립자연휴양림이 있음
|
지역 |
26 |
에덴동굴 |
 |
- 영춘면에 위치한 본 동굴은 동굴생성물을 활용한 고기구 관찰 연구지로 네이져지에 소개된 곳
- 기후변화에 대비한 과거의 기후 확인 가능한 곳
연구 목적으로만 활용하며, 공개장소는 아님
|
국제 |
27 |
다리안 화강편마암 |
 |
- 백두대간의 줄기인 소백산에 위치하고 있는 화강편마암
|
국제 |
28 |
매포 충상단층 |
 |
- 고생대 실루리아기와 중생대 쥬라기의 접촉부의 충상단층
|
국제 |
29 |
향산리 고기자기 증거 |
 |
- 초기 트라이아스기의 노출된 동고층에 대한 고기자기 연구로 단양 지역이 평안누층군 형성이 후 시계방향으로 수직축 회전을 했다는 증거
|
국제 |
30 |
하리 대량절멸 |
 |
- 대멸종(대량절멸)의 증거(수은)로 과거 전체 해양생물 중 약 35%이상이 사라진 사건
|
국제 |
31 |
기촌 충상단층 |
 |
- 쥬라기 반송층군과 오르도비스기의 암석의 충상단층오로 접하는 구역
|
지역 |
32 |
노동리 충상단층 |
 |
- 노동리에 발달하고 있는 충상단층으로 단양지역에 발달하는 고생대, 중생대 경계 단층
|
국제 |
33 |
죽령단층 |
 |
- 단양의 남부지역에 동서방향으로 발달한 단층으로 단양 지역에서 발달한 단층 중 가장 최근에 발생한 단층
- 한 개의 단층이 아닌 4개의 단층이 평행하게 발달
|
국제 |
34 |
기촌리 슬음산 충상단층 |
 |
- 기촌리 슬음산에 발달한 충상단층으로 고생대 오르도비스기와 석탄기의 경계가 나타남.
- 한반도와 중국의 지각사의 합축
|
국제 |
35 |
의풍 혼성편마암 |
 |
- 혼성편마암은 750℃ 및 4-6kbar의 압력에 의해 변성된 것으로 영춘면 의풍리 발달
|
국제 |
36 |
사평리 역암 |
 |
- 중생대 쥬라기의 역암으로 역암내 역을 통하여 고생대 및 중생대의 퇴적환경을 확인
|
국제 |
37 |
오사리 쇄설성 저어콘 |
 |
- 퇴적분지의 구조적 진화와 연관성을 평가하고 입증하는데 사용
- 옥천대의 고생대 서열은 경기/영남분지 구별)
|
국제 |
38 |
대전리 필석 화석 |
 |
- 어상천면 대전리 일대에서 발견된 고생대 오르도비스기의 필석 화석, 필석은 돌에 새겨진 문자와 같다는 의미로 균체를 이루어 물에 더서 살던 해양 반삭 동물을 말함
|
국가 |
39 |
기동리 충산단층 |
 |
- 고생대 실루리아기와 중생대 쥬라기의 접촉부의 충상단층
|
국가 |
40 |
구낭굴 |
 |
- 구낭굴은 암석학적, 층서학적 데이터가 잘 나타나져 있어, 퇴적구조를 따라 연대측정을 수행하고 이를 기반으로 동굴 환경의 변화를 확인 가능
|
국가 |
41 |
파랑리 삼엽충 화석 |
 |
|
국가 |
42 |
노동리 반전 습곡 |
 |
- 노동리에 위치하고 있는 삼차원 습곡구조로 습곡의 면구조를 확인할 수 있는 곳
|
국가 |
43 |
노동리 습곡 |
 |
- 노동동굴 주변의 광산에서 접힘현상이 나타나며, 이 구조가 수십미터 규모로 나타나 교육 및 학문적으로 훌륭함
|
국가 |